태극기(국가상징)

블루시티 거제

세계로 가는 평화의 도시 거제
검색
사이트맵
본문 시작

연초면 다공리

홈 > 블루시티 거제 > 기본현황 > 거제시 역사관 > 연초면 다공리

연초면 다공리
  • 영조(英組) 45年(1769) 방리(坊里) 개편으로 다공방(茶貢坊)이었는데, 고종(高宗) 26年(1889) 다공리(茶貢里)가 되었고 1915年 6月 1日 도령(道令) 제20호(第二十號) 법정동리령(法定洞里令)으로 다공리(茶貢里)가 되었으며 1942年 5月 1日 부락구제(部落區制)로 다공(茶貢)과 중리(中里)의 2구(區)를 1961年 10月 1日 거제군(巨濟郡) 조례(條例) 제4호(第四號)로 행정리(行政里)가 되었다.
다공(茶貢)마을

마을 앞 남여산(南女山)을 중심으로 다전(茶田)이 있어 좋은 잎사귀를 건조하여 진공(進貢)하였으므로 다공(茶貢)이라 하며 큰 마을이라 대촌(大村)으로 부르고 있다.

중리(中里)마을

다공(茶貢)의 북쪽 하청(河淸), 죽토(竹土), 이목(梨木)의 삼거리에 들 복판의 마을로 중리(中里)라 하였으며 연초천(延草川) 건너 남여산(南女山) 촌락이 있다.

갈마장산

다공(茶貢) 밀바대들 남쪽에서 임진왜란(姙辰倭亂)때 말에게 물을 먹이던 곳이다.

개바리들

다공(茶貢) 남(南)쪽에 있는 들이다.

남여산(南女山)

다공 동쪽의 높은 산으로 임진왜란(姙辰倭亂)때 의병장 윤영상(尹榮祥)이 바위굴에 은신하였다가 밤에 왜군을 기습하여 격멸시켰던 산이다.

남여산 마을

중리 앞 연초천 건너에 남여산 밑 촌락이 있다.

다영산

다공 뒤에 있는 산이다.

담불밭골

다공 남쪽 제부자몰 동쪽에 돌담부랑의 밭 골짜기다.

도론골 마을

다공 서쪽에 인륜과, 도덕을 배우던 서당이 있던 골짜기다.

둔작골

중리 서쪽 등성이 밑에 있는 골짜기다.

단 재

중리 북쪽에서 하청면 서리로 넘어가는 고개가 가파르다.

딧 골

제부몰 동쪽 새앳골재 뒤쪽에 있는 골짜기다.

모시밭등

밀바대 밑에 모시밭이 있던 골짜기다.

모팅이들

다공 남쪽 모퉁이에 있는 돌이다.

밀바대들

다공 동남쪽에 있는 들에서 임진왜란때 옥포대첩(玉浦대捷)의 다음날 5月 8日 왜군이 고현으로 진격하는 것을 거제현령 김준민(金俊民)과 의병장 제인국(諸仁國)이 열녀천(烈女川)에서 막으니 밀바대로 들어 갔는데 밤중에 습격하여 몰살시켰으니 몰바대 또는 밀고들어 갔으니 밀바대의 싸움이라 전하고 있다.

부처골

제부실 서북쪽에 돌 부처가 있던 마을이다.

불당골

부처골 위에 있는 골짜기다.

사정걸들

다공과 죽전의 경계에 옛날 활을 쏘던 들이다.

새앳골제

제부실 동쪽에서 천곡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성진이집골

서당골 남쪽 골짜기에 상여집이 있었다.

신도비(神道碑)

제부실 길가에 임진왜란(姙辰倭亂)때 선무원종일등공신(宣武原從一等功臣) 훈련원(訓鍊院) 첨정 윤영상(僉正 尹榮祥)의 묘소를 안내하는 큰 길에 신도비(神道碑)가 있다.

약수골

제부실 동쪽 새앳골재 골짜기에 약수터가 있었다.

우마장(牛馬場)

중리 서쪽에 소를 놓아 방목하던 산지이다.

제부실

다공 서남쪽 칠원(漆原) 제씨(諸氏) 가 부자(富者)로 살았다는 촌락이다.

제식골

제불실 동남쪽 골짜기에 산제를 지냈다.

중 들

다공 큰마을 앞의 들이다.

찬샘이골

큰마을 동쪽 골짜기에 찬물이 나는 샘이 있었다.

충훈사(忠勳祠)

다공에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新) 윤승보(尹承輔), 윤영상(尹榮祥), 윤개보(尹개輔), 윤흥량(尹興良)의 칠원윤씨(漆原尹氏) 사충(四忠)을 모시는 사당(祠堂)이다.

한내밭골

제부실 동쪽 큰내 연초천(延草川)을 한내라 하며 그 냇가에 있는 밭골이다.

담당자 정보

담당부서
안전도시국  도시계획과  도시계획팀 
담당자
(☎ )

현재페이지 만족도

  • 현재페이지 만족도
  • 정보만족도 및 의견
    0건 평가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페이지만족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