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국가상징)

블루시티 거제

세계로 가는 평화의 도시 거제
검색
사이트맵
본문 시작

설비부문

홈 > 생활정보 > 환경/위생 > 에너지절약 > 설비부문

설비부문
폐열회수를 강화하자.
  • 보일러에 폐열회수장치(공기예열기, 급수가열기, 절탄기)를 설치하자
  • 폐열회수용 열교환기의 적정한 선택으로 폐열회수를 극대화하자
  • 에너지사용설비의 요구온도를 파악하여 단계별 열이용을 실시하자
적정용량의 전동기와 고효율 전동기, 모터절전장치를 설치하자.
  • 빌딩에서 냉각수의 순환이나 배기팬 등 모터를 신규 설치할 때 흔히 실제로 필요한 용량보다 과잉 용량을 설치한 경우가 많다. 이 전동기를 적정용량으로 바꾸어 에너지를 절약하자.
  • 일반전동기보다 효율이 5%정도 높은 고효율전동기로 교체하자
  • 전력 사용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적정량의 전력만 투입되는 모터 절전장치를 부착하자
태양열 이용설비를 설치하자.
  • 급탕 및 국부난방 등 가벼운 열사용설비는 태양열이용설비로 대체하여 쓰자.
최대전력 감시 및 제어장치를 설치하자.
  • 최대전력 감시제어장치(DEMAND Controller)를 설치하여 예정된 전력부하 이상의 전력사용을 억제하여 절전효과와 최대전력초과에 따른 전기료를 절약하자.
  • 여름철 계약전력 500kWh이상 상용건물 6,019개 소중 10%인 602개소에 최대전력감시제어장치를 설치할 경우 월 20,700kWh절감가능
    ※ 20,700kWh ×75,400원/kWh (계약기본요금) ×12월 = 13억 4,100만원
역률개선용 콘덴서는 부하측에 설치하자.
  • 수변전설비에서 역률을 개선할 목적으로 콘덴서를 부착할 경우 반드시 부하단말에 설치하여 선로 손실을 줄이자.
냉동기는 가스흡수식이나 빙축열이용기기를 설치하자.
  • 전기식 냉방기는 에너지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흡수식이나 심야전력을 이용하는 빙축열설비를 설치하자
축열조를 이용하는 심야전력을 사용하자.
  • 심야전력은 한전에서 국가에너지의 효율적이용 차원에서 싼 전기요금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심야전력을 이용한 난방 및 급탕설비를 설치하자
냉각수 수질관리를 철저히 하자.
  • 냉각수원의 수질관리를 철저히 하여 순환수관의 스케일을 최소화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전열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순환모터의 동력을 절약하자
냉각팬 회전은 냉각수 온도에 따라 제어하자.
  • 냉각탑의 순환수 온도에 따라 냉각팬 회전수를 제어하여 전력을 절감하자 (2% 정도 절전)
에어컨의 필터, 냉각코일의 청소를 철저히 하자.
  • 에어컨의 공기흡입측에 설치된 필터가 오염되면 공기순환에 지장을 초래하여 전력사용을 증가 시키고 냉각코일의 오염은 전열효과를 저하시키므로 청소를 철저히 하자
차광(블라인드)커튼을 설치하자.
  • 남향건축의 경우 여름에 태양광을 차단해 줄 수 있는 차광커튼을 설치하여 냉방비를 줄이자
공조기 운전방식을 가변풍량 방식으로 하자.
  • 실내 상태(실온, 습도, 오염정도)에 따라 필요한 공기만을 유입시키는 가변풍량방식(V.A.V, VariableAir Volume)을 채택하여 에너지를 절약하자
공조기 필터를 철저히 청소하자.
  • 공조기는 공기흡입측에 설치한 필터에 분진이 누적되면 흡입통풍기에 부하가 상승하여 전력사용이 증가하고 세균이 번식되므로 시기를 정해놓고 주기적으로 청소하자.
팬 코일의 개폐는 일괄제어방식으로 하자.
  • 방열기(팬코일, 라디에이터)의 설치는 사용자 개별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실수로 낭비되는 에너지를 막기 위하여 중앙 제어방식으로 일괄 조정이 가능토록 하자
공조기는 배기열 회수방식을 채택하자.
  • 중앙 냉 · 난방 제어를 하는 건물은 배기열 회수를 위하여 배기열 회수기를 설치하자.(회전식, 히트파이프식 열교환기 등)
엘리베이터는 격층 운행하고 4층 이하는 걸어서 다니자.
  • 아파트나 빌딩에서는 에너지절약과 건강을 위하여 4층 이하는 계단을 이용하도록 하자
엘리베이터의 닫힘버튼을 누르지 말자.
  • 엘리베이터의 격층운행은 각층운행에 비해 정지 · 출발시 들어가는 에너지를 반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 아파트에서는 이용시간이 한정되어 있고 낮 시간에 운행이 적어 4.2% 정도의 절전효과가 나지만 업무시설 및 근린 · 판매시설은 10%가까이 절전이 가능하다.
  • 에너지 절약과 건강을 위해 4층 이하는 걸어 다니도록 합시다.
  • 엘리베이터의 닫힘 버튼을 누르는 것 자체는 절전효과가 없지만 엘리베이터에서 인위적으로 닫힘버튼을 누르지 않고 자동으로 설정된 시간(약7초)에 닫히게 하면 운행횟수를 줄일 수 있어 에 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므로 이를 숙지하여 시행토록 합시다.
  • 업무시설 및 근린 · 판매시설은 5%이상 절전이 가능하다.
  • 절감효과
    건물용도별 격층운행을 통한 절전효과
건물용도별 격층운행을 통한 절전효과
용도 평균절감량[kWh/일.대당] 시간당 절감량[W/시간] 절감률(%)
전층 격층 절감량
공동주택 15.478 14.828 0.650 40.63 4.20
업무시설 18.442 17.515 0.928 66.26 7.70
근린시설 3.313 3.112 0.201 12.57 8.85
판매시설 7.652 7.035 0.618 56.14 10.27

건물용도별 닫힘버튼 폐쇄에 따른 절전효과

건물용도별 닫힘버튼 폐쇄에 따른 절전효과
용도 평균절감량[kWh/일.대당] 시간당 절감량[W/시간] 절감률(%)
닫힘사용 닫힘폐쇄 절감량
공동주택 15.478 15.269 0.209 13.06 1.35
업무시설 18.442 17.699 0.743 53.09 4.03
근린시설 3.313 3.145 0.167 10.46 5.07
판매시설 7.652 7.111 0.541 49.18 7.07

※각 건물용도별 절감비율은 닫힘버튼사용 대비 비율임. 절감량은 인버터방식 기준임.

설비 및 배관을 보온하자.
  • 초기설치시 설비와 배관은 단열이 되어 있으나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침수 등에 의해 벗겨지고 보온효과 떨어지므로 보온을 강화하자.
  • 배관의 보온시 보온층의 두께는 유체의 내부온도와 배관규격에 따라 경제적인 두께로 결정토록 하자
저효율설비를 과감히 절약형으로 교체하자.
  • 보일러, 냉동기, 조명등 에너지사용설비의 성능을 점검하고 에너지절약형기기 정보를 입수하여 효율이 높은 설비로 교체하자
건물내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분배될 수 있도록 하자.
  • 각 층별, 각 실별로 냉 · 난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자
  • 중앙제어식의 냉 · 난방 설비를 설치하자
밸브를 정확히 개폐하자.
  • 공정내 밸브를 조절용으로 사용하지 말자
  • 증기밸브에서 누출이 되는지 확인하고 개선하자.
  • 체크밸브는 작동여부를 자주 확인하자

담당자 정보

담당부서
경제산업국  조선경제과  지역경제팀 
담당자
반미정 (☎ 055-639-4434)

현재페이지 만족도

  • 현재페이지 만족도
  • 정보만족도 및 의견
    0건 평가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페이지만족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