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사업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이란?

사업목적

  • 지역장애인의 건강상태 개선 및 자가 건강관리능력 향상
  • 의료 전달체계의 유지기 역할을 위한 장애인 대상 지역사회 인프라 구축

사업목표

  • 지역 장애인 중, 보건의료 미 충족 대상자에 대한 건강 행태개선
  • 재활의료기관등에서 의뢰되는 자에 대한 지역사회 내 사회복귀 지원

사업내용

장애인 건강보건관리 제공

  • 보건소 내 재활치료센터 운영
    • 대상 : 장애인 및 근골격계 질환자 등
    • 내용 : 물리치료, 장애인 재활운동, 재활교육 및 정보제공, 재활기구대여
  • 집중관리장애인 가정방문 재활서비스
    • 대상 :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대상자, 차상위계층 우선)으로 재가·심한 장애인
    • 내용 : 재활서비스(관절유연성 및 근력강화 운동, 일상생활 동작훈련, 보행지도, 장애관련상담 등)
  • 장애청소년 성교육 교실
    • 대상 : 관내 특수학교 중·고등학생
    • 내용 : 성폭력 구분 및 성폭력 대처방법
  • 지역사회연계 장애아동 부모교육
    • 대상 : 장애아동 및 장애위험아동을 둔 부모
    • 내용 : 장애아동 부모 역량강화 및 스트레스 관리 등 다양한 주제로 교육, 정보교류
  • 뇌병변 장애인 건강UP교실
    • 대상 : 보건소 등록 장애인 중 뇌병변 장애인
    • 내용 : 맞춤형 순환 운동, 웃음치료 등을 통한 정서적 지지, 장애인 및 가족간의 정보교류 등

장애발생 예방사업

  • 지역아동센터 장애예방 및 인식개선 교실
    • 대상 : 관내 학령기 아동
    • 내용 : 구강, 영양, 금연, 안전사고 예방 등 교육
  • 뇌졸중 예방교육
    • 대상 : 경로당 및 마을회관 이용자
    • 내용 : 뇌졸중의 원인, 증상, 예방법 등 교육

의료기관에서 연계하는 예비장애인 사례관리

  • 퇴원하는 예비장애인 상당활동 서비스
  • 대상자별 장애상태별 적절한 서비스 연계·제공

담당부서

  • 보건소 건강증진과  

최종수정일 : 2024-03-04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