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메뉴 이동

탑포산성과절충장군묘

탑포산성과 절충장군 묘

탑포산성

탑포산성 이미지

탑포산성의 시루봉-그 아래 탑포마을이 보인다.

탑포마을 위 고개 저구마을 내려가는 길목에 다다르면 오른쪽의 나지막한 산이 보인다.
이곳을 탑포마을 사람들은 "시루봉" 이라 부른다.
그러나 이 산속에 산성이 있다는 사실은 일부의 사람들만 알 뿐이고 그 외 사람들은 잘모른다. 또한 이곳 사람들도 구전으로 들어 산성이 있다는 사실만 알고 있을 뿐 어떤 형상으로 되어 있는지는 모르고 있었다.

성곽 주위는 대부분 허물어지고 산 정상 주위를 빙둘러 둘레 186m 규모의 작은 산성이다.
한편 이 산성 속 정상에는 조선시대의 정3품(오늘날의 차관급) 무관 벼슬인 "절충장군 묘"가 있다.
마침 비문이 있어 확인 결과 동부면 율포마을의 "광정공파" 최씨 문중에서 관리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유래를 알고 싶었으나 후손들은 웃대 장군 할아버지묘란 사실만 알고 있을 뿐이다.

탑포산성 이미지 탑포산성 이미지 탑포산성 이미지 탑포산성 이미지 탑포산성 이미지 탑포산성 이미지

탑포산성의 성곽 - 대부분 허물어져 있고, 다대 산성의 성곽 돌과 비슷하다.

탑포산성

탑포산성 이미지 탑포산성 이미지

  • 절충장군(折衝將軍) : 조선시대 무신 정3품 당상관(오늘날 차관급)의 품계명
  • 해당 관직으로는 중추부의 첨지사, 훈련도감, 어영청, 금위영 등의 관직이 있고 처(妻) 에게는 숙부인(淑夫人)의 작호(爵號)가 주어졌다

탑포산성 이미지

비문 전면

탑포산성 이미지

비문 후면

탑포산성 이미지

비문 측면

  • 비문 전면 : 절충장군 경주최공지묘 계좌
  • 비문 후면 : 오른쪽 둘째줄 숙부인(配淑夫人) 함안 이씨 글자가 보인다.
  • 비문 측면 : 공휘수항자천익, 광정공 12세손야, 생우 영묘계유 2월 29일, 졸우 순묘신사 정월 초9일
    • 공의 이름은 수항(壽恒) 이고 광정공파는 경주최씨 여러 계파중 매우 큰파로 통일신라 최치원을 시조로 후손인 최단(崔鄲)이라는 사람을 시조로 한 계파로 기록되어 있음을 확인 하였다.
    • 태어나신 해(生于) : 조선 21대 영조(英廟)왕(재위기간:1724~1776년) 계유년(닭띠-1753년) 2월29일
    • 돌아가신 해(卒于) : 조선 23대 순조(純廟)왕(재위기간:1800~1834년) 신사년(뱀띠-1821년) 1월 9일

종묘사직(宗廟司直)에서 종묘는 조선왕조 역대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유교 사당으로 왕은 매년 이 종묘에서 제사를 지냈다 함

  • 영묘(英廟)는 영조의 “영(英)”과 종묘의 “묘(廟)”가
  • 순묘(純廟)는 순조의 “순(純)”과 종묘의 “묘(廟)”가 합쳐진 말이라 함

오시는길

담당부서

  • 남부면   

최종수정일 : 2020-02-06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