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청면 대곡리

하청면 대곡리

  • 영조(英祖) 45年(1769) 방리(坊里) 개편때 칠천도방(漆川島坊)에 속하였으며 고종(高宗) 26年(1889) 대곡(大谷)과 송포리(松浦里)로 분리되었는데 1915年 6月 1日 도령 제20호 법정동리령(道令 第20號 法定洞里令)으로 대곡리(大谷里)가 되었으며 1942年 5月 1日 부락구제(部落區制)로 대곡(大谷), 송포(松浦), 황덕(黃德)의 3구(區)가 되었고 1961年 10月 1日 행정리(行政理)로 되었다.
대곡(大谷)마을

칠천도(七川島)의 서북단에 위치하여 본래 한실이라 하였는데 이는 옥녀봉(玉女峯) 밑 큰 골짜기 큰 마을이라 하여 대곡(大谷)이 되었다.

송포(松浦)마을

칠천도(七川島)의 최북단에 위치하여 본래 솔개라 하였는데 이는 송림(松林)이 울창하여 송포(松浦)라 하였다.

황덕(黃德)마을

대곡(大谷)의 서쪽바다 황덕도(黃德島)의 섬마을로 면적 0.2㎢로 숲이 울창하여 크고 작은 노루가 서식함으로 누른덕 또는 노인득도라 하여 황덕도(黃德島)라 하였다.

가는개

솔개 동북쪽에 가늘고 긴 개이다.

감나무 탑재

대곡 남쪽에서 장곶이로 넘어가는 고개로 감나무가 있는 고갯마루에 긴손들이 돌을 쌓아 서낭당제를 지냈다 한다.

굿 등

솔개 동남쪽에 굿을 하였다는 등성이다.

넓은등

솔개 동북쪽 가는개 동쪽에 넓은 등성이다.

노른덕섬

늙고 큰 노루가 살고 있다는 섬으로 노른덕 또는 노인득도라는 황덕도(黃德島)는 면적 0.2㎢이다.

당넘어몰

대곡 북쪽 당산 너머에 있는 갯마을이다.

당산마을

대곡 동북쪽 당산밑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다.

동굴산

황덕도의 서남쪽에 있는 산밑에 동굴이 있는 산이다.

못골재

솔개의 가는개에서 동북쪽 역개로 가는 고갯길이다.

무덤등이 마을

솔개 서북쪽 등성이에 작은 무덤이 많고 그 아래 갯촌이다.

배올재

대곡 동북쪽에서 물안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복송나무재

솔개 동북쪽 가는개에 역개로 넘어가는 고개에 복숭아나무가 있었다.

새지산

황덕도의 동편 샛바람이 닿는 산이다.

서나무재

송포 서쪽에서 꼬다리 끝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솔갯재

대곡 북쪽에서 솔개로 넘어가는 고갯길이다.

구야방도

솔개 서북의 뾰족한 땅끝이 반도를 형성하고 있다.

숫돌배미산

솔개 북쪽에 숫돌이 나는 산이 있다.

아래마을

솔개 서남쪽 바닷가에 있는 갯마을이다.

안골마을

대곡 안쪽에 있는 큰 마을로 초등학교가 있다.

어등만이끝

송포와 물안의 경계에 뾰족한 땅끝이다.

윗마을

대곡 북쪽 골짜기에 솔개로 가는 중간에 있는 마을이다.

원덩바위

대곡 동쪽 탑재고개 밑에 있는 큰 바위다.

중신개

솔개 서쪽에 있는 개안이다.

지부리끝

황덕도 서북단에 쥐의 주둥이 모양의 뾰족한 산마루 끝이다.

큰 등

황덕도 동쪽 새지에 있는 등성이다.

탑재골재

대곡에서 물안으로 넘어가는 고개에 길손이 돌을 모아 탑을 쌓았는데 지금은 없어졌다.

한실마을

칠천도에서 가장 큰 골짜기에 큰 마을이 있으니 한실이라 하고 대곡(大谷)마을이다.

담당부서

  • 문화관광국 문화예술과  

최종수정일 : 2020-11-16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