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화재

화재

화재 발생시 행동요령

  • 일반적인 대응요령은
    • 젖은 수건으로 입과 코를 감싸고 입은 옷에 물을 뿌려 젖은 상태에서 낮은 자세로 대피합니다. 방향을 분간할 수 없을 때에는 벽면을 따라 대피하여야 하며, 호흡량을 적게하고 신속하게 대피합니다. 연기가 체류하는 장소는 막다른 곳이므로 반대 방향으로 대피하여야 하며 방안에 갇혔을 때에는 무모하게 창문을 뛰어 넘거나 불길 속으로 뛰쳐 나가지 않아야 하며 실내 쪽으로 향한 문은 모두 닫고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천(옷등)을 물에 적시어 틈 사이를 막아야 합니다. 당황하지말고 침착하게 외부에 구조요청을 합시다.
  • 고층빌딩내 화재시에는...
    • 엘리베이터나 실내 계단을 이용하지 말고 실외 계단을 이용하여야 하며, 아래층으로 내려갈 수 없을 때에는 옥상으로 올라가 바람을 등지고 구조요청을 합니다. 완강기나 구조대 설치장소로 이동하여 탈출을 하여야 합니다.

홍보방향

  • 겨울철에는 습도가 낮고 주위의 물건들이 건조한 상태이므로 화재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겨울철 화재발생률이 전체 화재의 34.1%로 많은 인적 · 물적 피해를 준다는 점을 인식, 우리 모두 화재 예방요령을 숙지 화재예방에 만전을 기해야 하겠습니다.

유형별 화재예방 요령

  • 주택 · 아파트 화재
    • 모든 화기는 사용시 취급상의 안전수칙 준수
    • 전열기구 사용시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 개의 전기기구 접속 사용 금지
    • 외출할 때에는 집 안팎을 반드시 점검하며, 동일 유형의 다세대 주택에서는 주민 스스로 화재에 대비
    • 잠자리에 들기 전에 전기, 가스, 전기기구 등의 안전을 확인하는 습관을 생활화
    • 불씨가 남아있는 담배꽁초를 휴지통에 버려서는 안 됨.
    •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냄비 등을 불에 올려 놓은 채 주방을 장시간 떠나지 않도록 함.
    • 가정에 적합한 소화기를 비치하고, 그 사용법을 익혀 둠.
  • 공장 · 작업장 화재
    • 공장규모에 맞는 소방시설을 완비하고, 자위 소방조직을 편성하여 유사시 각자 임무를 철저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교육과 훈련을 실시
    • 창고 등에 제품을 적재할 때에는 발화 위험물질은 따로 분리하여 정리
    • 공장이나 작업장에서 화재위험지역으로 판단되는 곳은 "화기금지" 구역으로 설정하고, 방화관리 책임자를 지정 관리
    • 담뱃불로 인한 화재의 예방을 위하여 종업원들의 흡연 장소를 안전한 곳에 설치
  • 시장(점포) 화재
    • 소방시설을 완비하고 자체 점검을 철저히 하며, 소방시설 사용요령 등에 관한 교육과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
    • 전기시설을 함부로 설치하거나 무질서한 전기배선을 하지 않도록 함.
    • 중앙공급식 난방을 설치하여 겨울철에 이동식 석유 난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
    • 화재시 연소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내장재는 단열재를 사용하고, 방화구획, 자동방화셔터 등을 설치
    • 상품은 정리정돈을 철저히 하고, 손님들의 담뱃불에 주의
    • 화재시 소방차의 진입을 원활히 하기 위해 소방차 진입로에 상품을 진열하거나 좌판을 설치하지 않도록 함.

화재장소별 주요 화재원인

화재장소별 주요 화재원인의 화재장소, 주요원인, 비고가 적힌 표입니다.
화재장소 주요원인 비고
주택 · 아파트 전기로 인한 화재가 가장 많고, 어린이들의 불장난, 방화, 가스 등의 부주의로 화재가 발생. 생활공간의 주택은 소방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여 화재발생 위험요소가 가장 많이 상존
공장 · 작업장 전기로 인한 화재가 가장 많고, 유류, 가스, 담배 등이 주요원인.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는 대형화재로 재산 피해가 다른 장소보다 훨씬 높음
시장(점포) 무질서하게 연결해서 사용하는 전기배선, 즉 전기로 인한 화재가 가장 많고, 수없이 드나드는 상인이나 손님들이 버린 담뱃불, 겨울철 난방을 위해 사용하는 난로 등이 주요인 밀집된 점포와 대량으로 적재된 상품 등으로 급격하게 연소가 확대될 뿐만 아니라 짙은 연기와 유독가스로 진압이 어려워 대형화재로 확대.
고층건물 최근의 고층건물은 사무실용도 뿐만 아니라 식당, 각종 점포, 쇼핑센터 등으로 활용 그만큼 화재의 위험이 높음.
고층건물화재는 사무실용 건물보다는 호텔이나 복합건물 등에서 많이 발생
고층건물화재시 소방차의 고가사다리가 미치지 못하고 건물이 밀집되어 있어 헬기 접근이 어려워 화재시 구조작업의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음

담당부서

  • 안전도시국 시민안전과  

최종수정일 : 2020-01-2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