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풍수해

풍수해대비요령

풍수해란?

  • 우리가 흔히 말하는 재해는 자연적 재해와 인위적 재해로 나눌 수 있으며, 자연적 재해는 기상과 기후 등의 영향으로 발생되는 천재로서 사람의 힘으로는 막기 힘든 풍해 · 수해 · 설해 · 우박피해 · 벼락으로 인한 피해 그리고 한해와 냉해 등이 있습니다.
  • 우리가 겪는 재해 중 매년 되풀이 해서 발생되고 피해와 손실이 막심한 것은 풍수해라고 하겠습니다.
    ※ 풍수해란 태풍과 수해(홍수와 산사태)를 말합니다.

풍수해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우리모두가 알아둬야 할 일

  • 공통사항
    • 우리집은 어떤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가? (재해위험지구)
      ⇒ 수해상습지구, 고립지구, 하수 범람 우려 지구, 하천범람우려 지구
  • 산사태 위험 지구
    ※ 어떤 지구에 속하는지 미리 알아둬야 합니다.
    • 재해위험지구에서는 동 · 면사무소 또는 관계되는 재해대책기관에 미리 신고해 두고 만일의 경우에 협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이웃과 부락간에 연락망을 만들어 수시로 서로 연락할 수 있도록 합시다.
    • 우리집과 주변에 비가 새거나 무너져 내릴 곳이 없는지를 사전에 점검 보수합시다.
    • 낡은 지붕은 비닐 등으로 단단히 덮고 묶어서 폭풍우에 날아가지 않도록 합시다.
    • 담장, 축대 등을 점검하여 무너질 염려가 있는 곳은 보수하거나 보수가 불가능할 때에는 받침대 등을 설치하여 무너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합시다.
    • 간판 등 옥외 부착물이 비바람에 떨어져 행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우기 전에 단단히 묶어 두거나 못 등으로 굳게 고정시키고, 수리하여도 위험하다고 생각되면 사전에 제거합시다. 주변에 위험시설물이 있을 때에는 지나가는 행인이나 차량의 안전을 위하여 동,면사무소에 신고하고 우선 간이 위험표지판을 설치합시다.
    • 수돗물이 안 나올 경우를 생각해서 마을에 비상 우물 물이나 펌프 등을 설치해 놓고 샘물이 나오는 곳을 미리 알아 둡시다.
    • 단전이 될 경우를 생각해서 손전등, 양초, 라이터 등을 준비합시다.
    • 반상회 또는 마을 공동 스피커를 통하여 재해 대비 상황을 알리고 서로 정보를 교환하여 공동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합시다.
  • 농촌이나 산간지역에서 사전대비 사항
    • 수도작물의 경우, 상습침수 지역에서는 침수에 강한 품종을 선택하고 안전지대에 못자리를 설치합니다. 논두렁, 둑, 제방 등이 무너질 염려가 없는지 점검하고 보수합시다.
      호우가 예상될 때에는 튼튼한 지주목을 세우고 새끼나 비닐끈으로 줄을 쳐 벼가 쓰러지지 않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 밭작물의 경우, 이랑을 높게 하여 파종하고 배수로를 정비합시다. 짚, 풀, 비닐 등으로 지면을 덮어 주어 빗물로 인한 토양 유실이 없도록 합시다.
      무,배추는 파종 후 비, 바람에 대비하여 썬 짚이나 왕겨, 모래등으로 덮어주면 좋습니다. 옥수수, 수수 등은 몇 개씩 묶던가 지주목을 세워 새끼나 끈으로 연 지주목을 설치하여 과목이 비바람에 쓰러지지 않도록 합시다.
      경사지 과수원이나 새로 시작한 과수원에서는 짚, 풀, 비닐등을 덮어주어 흙의 유실을 막도록 합시다.
    • 원예시설
      비닐하우스 주변의 배수로를 정비하여 물이 새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내부에는 버팀대등을 설치보강하여 쓰러지지 않도록 합시다.
    • 가축과 축사
      축사와 사료창고를 점검하고 보수합시다.
      비상시에는 가축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합시다.
      단수가 되더라도 깨끗한 물을 먹을 수 있도록 우물이나 펌프를 설치합시다.
      우기가 오래 계속 될 때에는 수인성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사방시설
      산사태가 날 위험이 있는 곳은 미리 집주변을 둘러보아 큰 돌 등을 치워주고 무너질 위험이 있는 곳은 안전하게 보수 합시다.
      돌이 떨어질 위험이 있는 곳은 보호망을 쳐 주고 사람의 접근을 막읍시다.
      위험한 급경사가 있을 때에는 비오기 전에 마을 공동으로 순찰조를 편성하여 두도록 합시다.
  • 어촌 및 해안지역에서 사전에 해야 할 일
    • 저지대나 고립지대에서는 상호연락망을 구성하여 만약의 사태에 대비합시다.
    • 선박의 통신장비, 항해장비 등을 점검합시다.
    • 구명장비 등의 기능을 점검하여 필요할 때에는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가두리 망의 간격을 넓히고 망가리를 실시하여 둡시다.
  • 수해 상습지역 및 고립지역에서 특히 해야 할 일
    • 우기 전에 비상식량, 침구, 연료, 약품, 손전등, 옷가지를 비치하여 둡시다.
    • 하수구를 정비하며, 침수에 대비 양수기도 준비합시다.
    • 마을 고지대나 건물옥상 등에 헬기가 내릴 수 있는 장소를 만들고 주민전체가 미리 알아 두도록 합시다.
    • 주민합동으로 배수문 등 기타 수리시설관리에 철저를 기합시다.
    • 부락공동으로 삽, 곡괭이, 가마니, 말뚝, 비닐, 모래주머니, 새끼 등 수방 자재를 준비하여 둡시다.
  • 호우 태풍이 발생 했을 때 우리 모두가 해야 할 일
    • 민방위대원은 동원명령에 따라 피해지역에 집결, 지휘자의 지휘에 따릅시다.
    • 수방단 요원은 관계행정기관 및 단장의 지시에 따라 질서 있고 신속하게 행동합시다.
    • 전염병, 괴질 예방을 위해 집 안팎을 소독하고 물을 끓여 마셔야 하며 상한음식은 절대 먹지 않도록 합시다.
    • 수해 상습지 등의 주민은 기상상황을 듣고 인근 피해지역의 피해 수습에 참여합시다.
    • 피해를 입지 않은 주민은 이재민 돕기 운동을 합시다.
    • 피해발생이 예상되는 지역은 차량 및 통행인의 출입을 제한 합시다.
    • 피해를 입은 지역은 응급복구작업을 하고 다시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합시다.
    • 침수 농경지는 물을 빼주고 농약을 뿌려주며 피해를 입은 농작물은 마을 공동으로 정리정돈 합시다.
    • 집이 침수되었을 때에는 수도, 가스, 전기 등을 차단하며 이웃집, 인근제방, 수문, 하천, 산림등에서 위험한 곳을 발견하면 관계기관 및 통행인 또는 이웃들에게 알리도록 합시다.
  • 불가피하게 대피하여야 할 때 우리는 어떻게 하여야 할까요?
    • 절대로 당황하지 말고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여러 명이 함께 지정대피소로 갑시다.
    • 반드시 정해진 길로 가고 비상용품을 휴대하며 이동 후에는 모두 무사한지 확인합시다.
    • 미처 피하지 못한 사람은 관계기관에 즉시 신고합시다.
    • 집안의 가재도구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도로의 침수, 넘어진 나무, 늘어진 전선 등으로 고립 당하지 않도록 빨리 대피합시다.
    • 밤에 대피할 때는 손전등으로 불을 밝히고 가도록 합시다.
    • 차는 임시대피소로 옮기든가 그럴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에는 높은 곳에 주차 합시다. 강이나 냇물이 갑자기 넘친다고 생각되는 곳은 접근하지 말고 안전한 곳으로 돌아서 대피합시다.
    • 수해상습지역, 고립지역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없을 때에는 높은 지대 및 헬기장으로 피신 합시다.
    • 헬기로 대피할 경우에는 꼭 질서를 지켜 탑승하고 어린이, 노약자 등을 먼저 태우도록 합시다.
    • 차로 개울이나 물 웅덩이를 부득이 건너야 할 때에는 물이 차바퀴에 반 이상 차지 않을 때에 저단 기어로 건너고 엔진이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며 무사히 건넜을 때에는 브레이크를 점검합시다.

담당부서

  • 안전도시국 시민안전과  

최종수정일 : 2019-12-06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