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목면 관포리

장목면 관포리

  • 영조(英祖) 45年(1769) 방리(坊里) 개편때 칠천도방(漆川島坊)에 속하였으며 고종(高宗) 26年(1889) 대곡(大谷)과 송포리(松浦里)로 분리되었는데 1915年 6月 1日 도령 제20호 법정동리령(道令 第20號 法定洞里令)으로 대곡리(大谷里)가 되었으며 1942年 5月 1日 부락구제(部落區制)로 대곡(大谷), 송포(松浦), 황덕(黃德)의 3구(區)가 되었고 1961年 10月 1日 행정리(行政理)로 되었다.
관포(冠浦)마을

본래 저포(這浦)는 갓개, 신포, 저포로 불렀는데 저(這)는 맞은 저 또는 가지가지 저라 하였으니 여러가지 바다고기의 생산지라 갯촌이고 관포(冠浦)와 두모(頭毛) 사이에 탕건(宕巾)바위가 있는데 두마을이 다투어 머리위의 탕건은 두모실이고 관포(冠浦)는 머리 위에 탕건 그 위에 갓이라는 뜻이라 한다.

두모(頭毛)마을

관포(冠浦)의 남쪽 신봉산(神鳳山) 자락의 높은 곳이라 머리와 머리카락을 상징하여 두모실이라 하였다.

각 도(角 島)

두모실 앞에 지형이 네모가 져서 각섬이라 한다.

격산도(格山島)

두모실 앞 바다에 있는 작은 섬이다.

닭 섬

관포의 동쪽 끝에 닭벼슬 모양이라 닭섬, 계도, 장닭의 웅도라 하는 면적 4,066㎡의 작은 섬인데 지금은 방파제가 연결되었다.

당 산

관포 뒷산에 정월 대보름과 팔월 한가위 날에 당산제를 올려 풍어를 기원하였다.

당집재

당산으로 올라가는 재이다.

대구지개

관포 동쪽에 지형이 돼지 같다하여 저구지라고도 한다.

두모실재

관포에서 두모실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등밑개

관포 북쪽의 궁농마을과 경계하는 등 밑의 개이다.

명동재

두모실 서남쪽에서 연초면 명동으로 넘어가는 큰 재이다.

목넘개

관포 동쪽 대구지리개 북쪽의 목을 넘어가는 곳의 개이다.

밤개 뿌리마을

두모실 남쪽 밤개의 뿌리에 있는 갯마을이다.

솔낫끝 고개

두모실 남쪽에서 밤개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시루성재

관포 북쪽에서 장목리의 시루성터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신봉산(神鳳山)

관포 남서쪽에 봉황새 모양의 높이 141.8m에 삼각점이 있는 산이다.

용은이집골

관포 서쪽에 옛날 용인이라는 사람이 살았던 골짜기다.

음지골산

관포 동쪽 음지에 있는 골짜기다.

작은골

관포 남서쪽 작은 골짜기에 논들이 있다.

진여

관포 동남쪽에 길다란 여가 있다.

큰골들

관포 남서쪽 큰 골짜기에 논들이 있다.

탕건(宕巾)바위

관포 동북쪽 신봉산 자락에 탕건(宕巾)모양의 바위를 일명 공알바위라 한다.

담당부서

  • 문화관광국 문화예술과  

최종수정일 : 2020-11-16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