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목면 구영리

장목면 구영리

  • 영조(英祖) 45年(1769) 방리(坊里) 개편때 하청면(河淸面) 구영등방(舊永登坊)이라 하였는데 고종(高宗) 26年(1889) 구영리(舊永里)로 고치고 동(同) 32年(1895) 구영(舊永)과 황포리(黃浦里)로 나뉘어 졌으며 융희(隆熙) 3年(1909) 장목면(長木面) 설치로 속하였고 1915年 6月 1日 구영리(舊永里)로 법정(法定)되었으며 1942年 5月 1日 부락구제(部落區濟)로 구영(舊永)과 황포(黃浦)의 2구(區)로 1961年 10月 1日 행정리(行政里)가 되었다.
구영(舊永)마을

거제도의 최북단에 위치하여 성종(成宗) 원년(元年:1470) 거제칠진(巨濟七鎭)의 영등진(永登鎭)을 두었다가 인조(仁祖) 원년(元年:1623) 둔덕면(屯德面) 영등(永登)으로 옮겼으니 구영등(舊永登)으로 구영(舊永)이라 하였다.

황포(黃浦)마을

거제도의 북단은 사질토로 마사(磨砂)의 주산지이며 홍수때마다 황토(黃土)의 모래가 흐르고 수분(水分)이 없어 나무가 자라지 않은 사방지역으로 황포(黃浦)라 하였다.

개다리끝마을

황포 동북쪽에 있는 땅끝으로 개다리 모양의 산밑에 갯마을이 있다.

고란골

구영 동쪽안 지동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다.

고령재

송진포에서 황포로 넘어가는 고개로 높고 가파라 고령재라 하였다.

광지말 마을

황포 서남쪽에 광무(光武) 9年(1905) 러일전쟁(露日戰爭)때 러시아(露西亞)의 함대가 거제도의 동쪽을 지나가는 망을 본 왜군 광지(廣枝)가 살았다는 마을이다.

구미개

구영 서북쪽 대올골에 개의 꼬리모양의 좁은 개이다.

구영등진(舊永登鎭)

성종(成宗) 원년(元年:1470) 거제칠진(巨濟七鎭)의 하나로 영등진(永登鎭)을 두고 종4품(從四品)의 만호(萬戶)를 두어 전선(戰船), 병선(兵船), 사후선(伺候船)에 군관(軍官) 31인(人)과 군졸(軍卒) 229명(名)이 주둔하였고 영등성(永登城)을 쌓았는데 둘레 606.8m(1,068尺) 높이 7.4m이었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후 인조(仁祖) 원년(元年:1623) 둔덕면(屯德面) 영등(永登)으로 옮겨 갔으니 구영등진(舊永登鎭)이라 하였다.

굼덩몰

황포 아래쪽 황포천 구렁에 있는 외딴 마을이다.

깐치여

황포 마당여 북쪽 옆에 민물때는 잠기고 썰물때 보이는 암초이다.

납정포

황포 동북쪽 납장골 밑의 개로 일명 납장개라 한다.

당 들

황포 남쪽 당산 너머에 있는 들로 일명 당평이라 한다.

당 산

황포 앞산에서 삼짓날과 구월 구일에 당산제를 지냈다.

대올골

구영 서북쪽에서 황포로 넘어가는 고개밑의 골짜기다.

대봉산(大峯山)

황포 동쪽의 큰 산으로 봉황의 날개 모양이라 대봉산(大鳳山)이라 하였으며 2차대전(二次大戰)때 일본해군용지(日本海軍用地)라는 팻말이 발견되었다.

동진포(東津浦)

황포의 항구로 부산(釜山)과 여수(麗水) 여객선의 기항지였고 청(淸)나라와 일본(日本)사이의 교역항으로 1980년경 저인망 그물에 일본부사산(日本富士山:후지산)과 대나무 그림이 새겨진 도자기가 출토되었다 한다.

동헌(東軒)터

구영리 336-1번지에 영등진(永登鎭)의 동헌(東軒)터가 있다.

딴돌바위

황포 동북쪽 개다리끝 앞 바다에 외딴 바위섬이다.

딴 섬

황포해수욕장에서 북서쪽 길게 뻗은 광지말로 가는 바다에 광지말도(廣芝末島) 면적 35,802㎡의 외딴 섬이다.
딴섬 북서쪽에 마당 모양의 넓고 편편한 여가 있다.

맷 골

구영 남쪽에 있는 골짜기다.

모장골

구영 서쪽에 모장대 배기산이 있고 그 밑의 골짜기다.

목 골

황포 북쪽에 소를 놓아 방목하던 골짜기다.

무제봉

황포 서북쪽 뱀부리끝 남쪽산으로 가뭄때 기우제를 지내던 봉우리다.

문동골

황포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다.

민동재

구영에서 황포쪽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사이말(蛇이末)

거제도의 최북단 북이 35˚02´28˝에 위치하고 반도(半島)를 형성하여 마산(馬山)을 바라보는 땅끝으로 뱀의 주둥이 모양이라 뱀부리끝 또는 사부리 끝이라하며 이는 풍수지리설에 따라 일운면 서이말(鼠이末)과 상대하는 지명(地名)이고 노일전쟁때 일본군의 대포(大砲) 7문(門)이 있었던 봉우리 높이 67.4m에 삼각점이 있다.

산성산(山城山)

황포 동남쪽에 옛날 망을 보던 작은 산성이 있었고 그 밑에 생선골이 있다.

삼밭골

구영 동쪽안에 삼밭이 있었던 골짜기다.

생이집걸

황포 남쪽들에 상여집이 있었다.

성뒤골

영등포성의 동쪽 뒤에 있는 골짜기다.

성안샘

영등진의 동헌터 남쪽에 물이 바위틈에서 나오고 맛이 좋아 영등진 관아에서 길어다 먹었다.

수리작 마을

황포 서남쪽에 노일전쟁때 일본군 광지(日本軍 廣枝)라는 사람이 살았다는 광지몰 옆의 촌락이다.

수리장 고개

황포 풍로올개 남쪽에서 송진포리 수리장으로 넘어가는 고개다.

아랫몰과 웃몰

황포 아래와 웃골에 촌락이 있다.

아래 생선골

황포 동쪽 산성산 밑에 있는 골짜기다.

안 골

구영 동쪽 안에 있는 골짜기에 안골 논들이 있다.

안장여

뱀부리끝 서쪽바다에 말 안장모양의 여가 있다.

양지와 음지마을

황포 북쪽 뱀부리 끝을 바라보는 갯가의 음지와 건너편 동남향의 양지마을이 있다.

영등재

황포에서 구영등으로 넘어가는 고개다.

옥안터

구영리 258번지 위쪽에 영등포진의 감옥이 있었다.

왕바위

구영 동쪽 안골에 큰 바위가 있다.

웃생선골

생선골 위쪽에 있는 골짜기다.

장신골

구영 남쪽에 있는 긴 골짜기다.

풍로올개

황포개에서 청어가 많이 잡혀 풍요로운 개라 하였다.

풍류조 어장(風流條 漁場)

황포 남서쪽 바다에 청어잡이 정치망 어장으로 풍류조(風流條)라 하였다.

담당부서

  • 문화관광국 문화예술과  

최종수정일 : 2020-11-16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의견등록

방문자 통계